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25건)

광산 김공(김성유) 묘갈명 병서 〔光山金公墓碣銘 幷叙〕 -사미헌집
광산 김공 묘갈명 병서 〔光山金公墓碣銘 幷叙〕-사미헌집 제10권 / 묘갈명(墓碣銘) : 장복추(張福樞, 1815~1900)광산(光山) 김공(金公)의 휘는 성유(性儒)이며 자는 유선(幼善)이다. 헌종 정미년(1847, 헌종13) 정월 30일에 돌아가셨고, 을축년(1865, 고종2)에 인동부(仁同府) 서쪽 세덕(世德)의 간좌(艮坐) 언덕에 이장
도은선생집·해광집목판, 광주시 유형문화재 제30호, 31호 지정
광주광역시는 <도은선생집>과 운암서원 소장 <해광집목판>을 시 지정 유형문화재로 지정했다.광주광역시 문화재위원회는 관계학자·전문가 조사, 30일 이상 문화재 지정예고 등의 결과를 검토해 도은선생집을 제30호, 광주 운암서원 해광집목판을 제31호 시지정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기로 최근 결정했다.도은선생
노재 배승무裵承武(1559~1593)
본관은 달성이며 호는 노재이다. 조선 1559(명종14년)년 동곡 수성동에서 태어났다. 율곡 이이의 문하생으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덕령 장군과 함께 의거하여 영호남 각지에서 격전을 벌였으며 1593년 광주지역에서 복수장 고종후와 함께 다시 의병을 모집하여 진주성에
이지호 李贄鎬
이지호(李贄鎬, 1836~1892)는  광주 이씨,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으로 광산(光山)에서 태어났다.  청심당(淸心堂) 이조원(李調元)의 후손이다. 아들 이승우(李承愚, 1855~1919)는 화순 출신으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서양 오랑캐에 대응하여 자주적인 사상
일신재 日新齊
북구 일곡로 41번길 41-8   옛 일곡동 자연부락 주택가 안에 일신재가 자리하고 있다. 일신재는 일곡동 절효사節孝祠와 함께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20리 거리에 있다. 원래 있던 사우가 철폐된 이후 탕 임금의 반명盤銘을 따라 그 이름을 일신이라 했다. 은나라 탕임금은 세수 대야에 날마다 새롭게 한
화암사 / 花巖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가산마을(삼도가산안길 8)김우생(金佑生) 김문기(金文起)를 제향하는 사우 1807년(순조7) 창건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1908년 현 위치에 다시 건립사당 : 정면 3칸, 측면1칸, 단층 맞배지붕향사인물 김우생(金佑生, 1372~1457) 본관-상산(商山) 자-문숙(文叔)
충장사 / 忠壯祠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1023(북구 송강로13)김덕령(金德齡) 박광옥(朴光玉) 오두인(吳斗寅) 김덕홍(金德弘) 김덕보(金德普)를 배향한 사우1604년(선조 37) 창건1604년(선조 37) 창건 당시 명칭 「벽진서원(碧津書院)」, 박광옥(朴光玉)을 제향1678년(숙종 4) 지방사람들의 발의로 김덕령(金德齡) 추향, 명칭 「의열사(義
진천사(지) / 眞泉祠(址)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는데 문숙공(文肅公) 박석명(朴錫命), 칠졸재(漆拙齋) 박창우(朴昌禹), 석촌(石村) 박충정(朴忠挺),시암(時庵) 박영림(朴榮林),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금암(黔岩) 박치도(朴致道),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 소은(素隱) 박중회(朴重繪), 담락재(湛樂齋) 민사하(
지산재(구, 지산사) / 芝山齋(舊, 芝山祠)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715-1(남구 지산재길51)지산재(芝山齋)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신주를 모신 지산사(芝山祠)의 강당이다.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경내에는 강당인 지산재와 내외삼문ㆍ영당이 있는데, 그 중 지산
절효사 / 節孝祠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67(일곡로 41번길 41-8)노준공(盧俊恭) 노희서(盧希瑞)를 배향하는 사우1398년(태조 7) 창건1398년(태조 7) 건립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86년 복원규모 : 사우, 일신재(日新齋)향사인물 노준공(盧俊恭, 1340~1397) 본관-광산(光山)노희서(盧希瑞, 1558~1592)
의열사 / 義烈祠
광산김씨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을 주벽으로 지평공 김덕홍(金德弘), 풍암공 김덕보(金德普) 3형제를 등을 배향한 사액서원이다. 지평공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임란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하였다. 충장공은 역적 이몽학(李夢鶴)과 내통했다는 간신배의 무고를 당해 (1596년) 29세로 춘산화연곡(春山火燃曲)을 남기
원산사(지) / 圓山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선거이(宣居怡)를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사원철페령으로 훼철향사인물: 선거이(宣居怡, 1550~1598) 본관-보성(寶城) 자-사신(思愼) 호-친친재(親親齋)
운암서원 / 雲岩書院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235-(무등로 1040)운암서원(雲巖書院)은 원래 해광 선생이 자란 광주시 북구 운암동 자락 황계리에 세워졌으나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됐다가 1994년 지금의 광주시 북구 무등로(화암동)에 재건됐다. 사당에는 해광 선생과 사위 석주 권필, 아들 타의 영정과 신위가 있다. 서원
용동사(지) / 龍洞祠(地)
용동사(지) / 龍洞祠(地)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기진(奇進) 기의헌(奇義獻) 임정용(林挺龍) 기언정(奇彦鼎)을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향사인물 기진(奇進, 1487~1555) 본관-행주(幸州) 자-자순(子順) 호-물재(勿齋)기의헌(奇義獻, 1587~1653) 본관-행주(幸州) 자-사직(士直)
복룡사(지) / 伏龍祠(址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범세동(范世東) 범가용(范可容) 범천배(范天培) 범기생(范起生) 범기봉(范起鳳)을 배향했던 사우생룡동 314번지에 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복룡사유허비(伏龍祠遺墟碑)는 고려말 72현의 한 사람 문춘공 복애 범세동(范世東)을 주축으로 학봉(鶴峰) 범가용(范可容), 용계(龍溪) 범천배(
덕림사 / 德林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송산마을문화 류씨(文化 柳氏) 문중 사우1798년(정조 22) 창건연혁1798년(정조 22) 건립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63년 호남유림에 의해 복설 류인옥(柳寅玉) 추배규모: 사우 : 정면 3칸, 측면 1칸, 영보재향사인물류절(柳節, 1517~1580) 본관-문화(文化) 호-일
대산사 / 大山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대야마을, 송정리에서 영광쪽으로 10여 km를 가다가 삼도 삼거리에서 나주쪽으로 2km 남짓 가면 오른편으로 대산동 대야마을이 나온다.이 마을 후록(後麓)에 대산사(大山祠)가 있다.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과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1727년(영조 3) 창건연혁
광산사 / 廣山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 837 오겸(吳謙)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1825년(순조 25) 오겸의 후손들이 건립하였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후에 중수 하였다.사당 : 정면 3칸, 측면1칸, 단층 맞배지붕 오겸(吳謙, 1496~1582) 본관-나주(羅州) 자-경부(敬夫) 호-지족암(知足庵)·
경현사(지) / 景賢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김극기(金克己)를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김극기(金克己, 1397~1463) 본관-광산(光山) 자-예근(禮謹) 호-지월당(池月堂)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다. 지월당(池月堂) 김극기(金克己), 탄암(炭岩) 김득종(金得宗), 모계당(暮階堂) 김효종(金孝宗), 우봉(牛
경열사 / 景烈祠
경열사景烈祠는 광주 무등산 자락과 나주, 두 곳에 있다. 두 곳의 경열사 모두 고려장군으로 우리나라 수군을 창설한 정지 장군을 모시고 있다. 대체 왜 정지 장군을 모신 사당이 두군데나 있는 것일까? 정지 장군의 고향은 나주였지만 정지 장군이 머물며 왜구창궐에 나섰고, 일생을 마감한 곳은 광주였다. 이에 충청도 사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